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 교육과정(학부)
교육과정(학부)
구분이수구분교과목1학기2학기
학점강의실습학점강의실습
3학년전공필수전통과 현장 3(906053)12
3학년전공선택대승불교(906070)33
3학년전공선택도가철학(906031)33
3학년전공선택삼국유사기반 스토리텔링(906058)33
3학년전공선택유교문화콘텐츠 캡스톤디자인(906067)33
3학년전공선택인턴십 1-1(906042)44주
3학년전공선택철학교과교육론(906036)33
3학년전공선택한국성리학(906097)33
3학년전공선택송명리학(906068)33
3학년전공선택인문콘텐츠 캡스톤디자인(906061)33
3학년전공선택인식론(906017)33
3학년전공선택인턴십 1-2(906043)88주
3학년전공선택중국불교사상사(906071)33
3학년전공선택철학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906050)33
3학년전공선택한국문화 '콘텐츠'로 읽기(906063)33
3학년전공선택한국실학고전(906020)33
교육과정 상세내용
대승불교(906070)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제자들이 승가를 조직해 함께 모여 아라한이라는 성인을 목표로 수행하는 것이 초기불교의 모습이었다. 시간이 지나 승가가 분열되어 형성된 부파불교는 체계적인 아비달마교학을 발전시켰다. 대승불교는 기존 부파불교와 달리, 자신의 깨달음에 더해 중생을 제도하는 이타행을 내세웠는데, 이러한 대승불교는 동아시아에 전래되어 동아시아불교의 사상적 토대를 구축했다. 이 강좌는 대승불교의 기원과 특징을 고찰하고, 나아가 대승불교가 동아시아로 전파된 역사와 동아시아에서 발전된 여러 대승불교사상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도가철학(906031)
도가철학은 노자와 장자의 사상으로 대표된다. 도가철학은 유가사상과 더불어 중국사상을 이끌면서 상호 견제와 변증법적 발전을 가져오게 하여 중국사상을 풍요롭게 했다. 유가사상이 문화주의라면 도가사상은 자연주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환경문제를 풀어내는 상상력과 방법을 갈무리하고 있는 것도 도가철학이다. 중국이 과거의 불교를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도 예술적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도 모두 도가철학이 밑받침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환경문제에 대한 도양적 환경철학, 중국불교의 이해, 중국예술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 과목이다.
삼국유사기반 스토리텔링(906058)
삼국유사에는 불교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들 이야기 자료를 숙지하고, 그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기본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 만들기를 하여 보는 것이 이 강의이다. 이야기를 통하여 일차적으로는 불교 사상을 이해하고, 스토리 보드를 만들고 스토리텔링을 실제 수행하여 봄으로서 상상력과 구성능력, 글쓰기 능력을 배양하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송명리학(906068)
유학은 송명시대에 이르러 크게 변화한다. 유학은 조선시대 유학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성리학은 주자에 의하여 완성되는 신유학의 한 계열이라 할 수 있고, 송대 초기로부터 진행되어 나간 신유학적 태도와 입장은 성리학에 와서 완성된다고 할 수도 있다. 이 강좌는 송명시대 성리학적 텍스트를 학습하는 것을 통하여 유학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유교문화콘텐츠 캡스톤디자인(906067)
유교문화콘텐츠캡스톤디자인은 동양유교고전과 전통유교문화 등의 유교문화자원을 인터넷, 블로그, SNS 등의 생활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유교문화의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교과목이다. 동양유교고전은 육경사서는 물론, 문집과 일기 등의 유교문헌자료를 포괄하며, 전통유교문화는 서당, 서원, 향교, 종가, 사찰 등의 유교유물자료를 포함한다. 과거의 유교적 시공간에서 찾아낸 콘텐츠를 현재적 관점에서 창의적 기획물로 상품화하고 대중화할 수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인문콘텐츠 캡스톤디자인(906061)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방법을 기르면서 활용 가능한 대안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및 실습 과제의 유형으로는 연구논문 작성, 지역문화에 대한 철학적 성찰, 다큐멘터리 영상 편집·제작, 지역문화를 활용한 기획서 작성, 유교・불교・도교 등과 관련한 유적지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출판물 및 매체 제작 등이 있다.
인식론(906017)
넓은 의미에서 대상에 대한 인식의 구조와 방법을 다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초의 거대한 과학적 위기(진화론‧상대성 이론‧양자역학 등)는 과학적 합리성에 의해 받아들여졌던 규범들을 재검토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최근의 인식론은 과학의 자명성과 상식을 거부하면서 어떻게 과학적 인식을 정당화 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옮겨졌다.
인턴십 1-1(906042)
학은 현실의 삶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것이지만 불행하게도 오늘날 강단철학에 있어서는 이런 원론적 문제가 상당히 도외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철학 전공자들은 학문과 생활 사이의 유기적 소통이라는 점을 중심에 두고 각자의 방식으로 현실 속에 철학을 담아내는 방식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철학은 모든 인간 의식과 인간 생활을 바탕으로 하여 진지한 성철과 반성을 이끌어 가는 것이므로, 철학 전공자의 인턴십 과정이 중심적으로 포착하여야 하는 영역은 따로 없다. 인턴십에 참여하는 학생이 생활인으로 일반적 일에 복무하면서도 바름과 이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을 끈질기게 계속하여 나갈 수 있게 지도하고 독려하는 것에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두어진다.
인턴십 1-2(906043)
학은 현실의 삶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것이지만 불행하게도 오늘날 강단철학에 있어서는 이런 원론적 문제가 상당히 도외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철학 전공자들은 학문과 생활 사이의 유기적 소통이라는 점을 중심에 두고 각자의 방식으로 현실 속에 철학을 담아내는 방식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철학은 모든 인간 의식과 인간 생활을 바탕으로 하여 진지한 성철과 반성을 이끌어 가는 것이므로, 철학 전공자의 인턴십 과정이 중심적으로 포착하여야 하는 영역은 따로 없다. 인턴십에 참여하는 학생이 생활인으로 일반적 일에 복무하면서도 바름과 이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을 끈질기게 계속하여 나갈 수 있게 지도하고 독려하는 것에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두어진다.
전통과 현장 3(906053)
전통은 인간이 살아온 모습을 돌이켜보게 한다. 철학이 인간에 대해 이해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전통을 이해하는 일은 철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텍스트를 통한 철학공부에서 벗어나 전통의 현장을 둘러보는 일은 삶에 스며있는 철학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현장과 전통 1, 2’에서 익힌 기본기와 관점, 기록 방법을 기반으로 이 과목을 이수하는 수강생들은 전통의 현장에서 철학하는 삶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소논문 작성 혹은 그것을 콘텐츠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중국불교사상사(906071)
중국불교는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가 중국적 맥락에서 변용되고 발전된 총체로서, 인도불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독자적인 사상을 발전시켰다. 중국불교사상은 인도불교와의 연속성 및 불연속성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중국불교사상의 발전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도와 중국의 여러 사상적 맥락을 이해하고,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철학교과교육론(906036)
중‧고등학교에서 철학, 혹은 논리 교육을 실시할 때 필요한 이론과 실제 방법을 학습시킴으로써 앞으로 중등학교의 유능한 철학·논리 교사가 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철학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906050)
수업 계획안의 작성 방법과 수업 진행 요령을 숙달시키고, 실습 및 교재연구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수업 능력을 제고시킨다.
한국문화 '콘텐츠'로 읽기(906063)
한국현대문화는 영상이나 디지털 이미지 자료를 통하여 다양하게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들을 광범하게 섭렵하고, 그것들을 이용하여 현대 한국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문화의 실제적 흐름들을 점검하여 보고자 하는 것이 이 강의의 개설 이유이다. 이런 공부와 탐색을 통하여 ‘콘텐츠’를 이해하는 시각을 넓히고, 한국현대문화의 현재 진행 양상을 학습하며, 현상적 문화 속에서 유통되고 있는 우리 정신의 기반을 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성리학(906097)
성리학은 주자에 의하여 완성되는 신유학의 한 계열이라 할 수 있고, 송대 초기로부터 진행되어 나간 신유학적 태도와 입장은 성리학에 와서 완성된다고 할 수도 있다. 성리학은 조선시대 유학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인 퇴계, 율곡 등은 성리학의 사상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 강좌는 한국 성리학자들의 저술을 통해 그들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한국실학고전(906020)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새로운 학문의 양상이 실학이다. 학문은 이론에 대한 탐구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있고, 사회적 관심으로부터 출발하는 것도 있다. 실학은 시대와 사회의 문제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하였다. 이 강좌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저작과 사상 내용을 통하여 조선 후기세계관의 전환과정을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