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편성표

학년 | 이수 구분 |
교과목 번 호 |
교 과 목 명 | 1 학기 | 2 학기 | |||||||
---|---|---|---|---|---|---|---|---|---|---|---|---|
학점 | 시간수 | 학점 | 시간수 | |||||||||
강의 | 실습 | 강의 | 실습 | |||||||||
1 | 공기 | 111085 | 동양철학의 흐름 | 3 | 3 | |||||||
084 | @ | 서양철학사 | 3 | 3 | ||||||||
083 | 동양고전의 이해 |
3 | 3 | |||||||||
086 | 한국에서 철학하기 | 3 | 3 | |||||||||
2 | 전선 | 029 | ★ | @ | 한국철학사 | 3 | 3 | |||||
064 | @ | 동양철학사 | 3 | 3 | ||||||||
065 | 그리스로마철학 | 3 | 3 | |||||||||
067 | 중국불교문화와 사상 | 3 | 3 | |||||||||
068 | ★ | 문제발견과 추리 | 3 | 3 | ||||||||
070 | ★ | 四서 |
3 | 3 | ||||||||
087 | ★ | @ | 논리학 | 3 | 3 | |||||||
035 | 한국인의 민중생활과 민중사상 | 3 | 3 | |||||||||
051 | ★ | 동양사상의 인간이해 | 3 | 3 | ||||||||
066 | ★ | @ | 인식론 | 3 | 3 | |||||||
071 | ★ | 중국성리학 | 3 | 3 | ||||||||
088 | ★ | @ | 철학고전선독 | 3 | 3 | |||||||
089 | ★ | # | 철학교과논리 및 논술 | 3 | 3 | |||||||
3 | 전선 | 030 | 조선선비들의 삶과 의식 | 3 | 3 | |||||||
090 | ★ | @ | 비판적사고와 논술 | 3 | 3 | |||||||
091 | ★ | 도가철학 | 3 | 3 | ||||||||
092 | ★ | 제자철학 | 3 | 3 | ||||||||
093 | @ | # | 철학교육론 | 3 | 3 | |||||||
075 | ★ | 한국실학고전 | 3 | 3 | ||||||||
054 | ★ | 한국의 불교유적과 사상 | 3 | 3 | ||||||||
076 | 자료해석과 비판적 글쓰기 | 3 | 3 | |||||||||
095 | ★ | 한국성리학 | 3 | 3 | ||||||||
096 | 서양근대철학 | 3 | 3 | |||||||||
097 | ★ | 한국현대철학 | 3 | 3 | ||||||||
094 | # | 철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 3 | 3 | ||||||||
4 | 전선 | 050 | ★ | 주역의세계 | 3 | 3 | ||||||
099 | ★ | 불교고전 | 3 | 3 | ||||||||
100 | ★ | @ | 형이상학 | 3 | 3 | |||||||
101 | ★ | 중국의 비판사상 | 3 | 3 | ||||||||
041 | 한국영화와 대중미학 | 3 | 3 | |||||||||
047 | 풍수의자연학 | 3 | 3 | |||||||||
062 | @ | 윤리학 | 3 | 3 | ||||||||
081 | 논술교육설계와 평가 | 3 | 3 | |||||||||
|
전공선택 인정과목
인정학과 | 개설학과 | 개설학기 | 이수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동양철학과 | 한문학과 | 2-2 | 전선 | 109007 | 한문문법 | 3 |
사학과 | 2-2 | 전선 | 103046 | 한국인의 역사인식 | 3 | |
4-1 | 전선 | 103057 | 동아시아의 전통과 사상 | 3 |
교육목표
인간의 정신은 스스로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정신은 그 문화와 역사가 만들어내는 것이다. 동양철학은 동양이라는 지역적 한계 속에서 정신이 어떻게 반응하여 어떠한 의식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는가 하는 것을 탐구하는 학문분야이다. 무엇보다도 동양철학은 우리 정신의 본 모습을 확정하여 내는 학문분야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속한 곳이 바로 동양이고, 우리의 삶이 동양적인 것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성장하여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동양철학이란 ‘우리’라는 것을 바탕에 두고서 말하여 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동양철학 전공은 ‘우리’를 중심에 두고, 우리 정신이 젖줄을 대고 있는 동양적인 의식의 체계들에 대하여 폭 넓게 탐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그러나 동양철학 전공은 전통시대 속에 놓여져 있는 과거의 정신을 탐구하는 것에만 목표를 두는 것은 아니다.
동양철학 전공 교육은 학생들에게 기본적 사유의 방식과 진리에 대한 순결한 태도를 갖추도록 가르친다. 또한 동양적인 것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토대를 갖추어주기 위해 노력한다. 그리고 그러한 조건들을 바탕으로 하여 ‘오늘의 우리’가 가져야만 하는 바람직한 정신과 태도를 생산하여 낼 수 있도록 이끌어 가고자 하는 목표를 지닌다. 아울러 2002년부터 교직과정도 설치, 운영하고 있다.